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둑제2

상강(霜降) 기록과 구비전승, 전통의례 '둑제' 상강(霜降) 기록과 구비전승, 전통의례 '둑제' 1. 상강 의미와 기록 상강(霜降)은 24절기 중 열여덟 번째 절기로, "서리가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 ~24일경에 해당하며, 가을이 끝나가고 겨울이 다가옴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 밤 기온이 더욱 낮아져, 서리가 내리고 때때로 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국화가 활짝 피고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농가에서는 추수를 마무리하고 겨울맞이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상강 무렵이 되면 농사일을 마무리하고 그동안 미뤘던 친목모임을 가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상강과 입동 사이를 5일씩 나누어 자연을 묘사했는데, 초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중후에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며, 말후에는 겨울잠을 자는 짐승과 .. 2024. 10. 14.
경칩(驚蟄) 전통 의례와 풍습, 구비전승 경칩(驚蟄) 전통의례와 풍습, 구비전승 1. 경칩의 의미경칩(驚蟄)은 24절기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입춘과 우수에 이어 봄의 기운이 더욱 확실해지는 시기입니다. 경칩은 '잠에서 깨어난 벌레들이 놀라서 땅 위로 나온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대개 양력으로 3월 5일~6일경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에는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고, 날씨가 점점 더 따뜻해지며 본격적인 봄의 시작을 알립니다. 경칩은 기온이 오르고,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동물들이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자연에서 생명이 소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이때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봄이 시작됩니다. 경칩은 다른 이칭으로 "계칩(啓蟄)"이라 불리기도 하며, 이는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를 뜻합니다.  2. 경칩의 의례(1).. 2024.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