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4절기6

대설(大雪) 의미와 구비전승 대설(大雪) 의미와 구비전승 1. 대설의 의미 대설(大雪)은 24절기 중 스물한 번째 절기로, "큰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양력으로 12월 7일 또는 8일경에 해당하며,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실제로 이때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설이라는 이름에서 겨울의 한가운데로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를 상징합니다​. 농부들에게 있어 일년을 마무리하고 새해 맞이를 준비하는 농한기입니다. 가을 동안 수확한 곡시들이 곳간에 가득 쌓여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옛 중국에서는 대설부터 동지까지 5일씩 나눠서 초후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에는 호랑이가 새끼를 치며, 말후에는 여주가 돋아난다고 했습니다.  동양에서는 입동부터 대한까지를 겨울이라 여기지만, 서양에서.. 2024. 10. 16.
소만(小滿)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소만(小滿)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1. 소만의 의미소만(小滿)은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5월 20~21일경에 해당합니다. 볕이 잘 들고 작물이 자라나 약간의 곡식이 여물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생장하여 차오르기 시작한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습니다. 맹하는 초여름이라는 뜻입니다.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씀바귀 잎으로 나물을 해먹으며, 보리이삭은 익어서 노란 색을 띄는 시기입니다. 모내기 준비에 한참 바빠지는 시기이며, 이른 모내기를 하거나 여러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습니다. 보리싹이 성장하고 산야의 식물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시작하고, 산에서는 부엉이가 웁.. 2024. 9. 28.
입하(立夏)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입하(立夏)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1. 입하의 의미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로,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개 5월 6일 무렵에 해당하며, 봄의 따뜻함이 지나고 여름의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봄은 퇴색하고 산과 들에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묘판에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보리이삭들이 피기 시작합니다. 누에치기가 한창인 시기이며, 논밭에 해충도 많고 잡초도 많아지기 시작합니다. 2. 입하 풍속과 속신(1) 입하와 목화 풍년 속설입하가 털 있는 짐승날(십이지 중 짐승에 해당하는 날)에 해당되면, 그해 목화 농사가 풍년이 될 것이라는 속설이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변화를 예측하고 농사의 성패를 점치는 전통적 믿음 중 하나였습니다.(2) 팥죽 끓여 먹기입.. 2024. 9. 28.
청명(淸明)의 전통 의례, 풍습, 절기음식 청명(淸明)의 전통의례, 풍습, 절기음식1. 청명의 의미청명(淸明)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4월 4일 또는 5일경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는 날씨가 맑고 온화해지며, 농사 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입니다. 청명이라는 이름 자체가 '하늘이 맑고 밝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대기 중의 차가운 기운이 사라지고 하늘이 점차 청명해지는 현상을 표현한 것입니다. 청명은 또한 한식(寒食)과 맞물려 있어,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기록이 뒤섞이는 경우가 많고, 민간에서 뚜렷한 구분 없이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식(寒食)은 24절기 중 청명과 가까운 시기에 있는 한국의 전통적인 명절로, 주로 음력 3월 5일경에 해당합니다. 한식은 '차가운 음식'이라는 뜻을 가지며, 불을 사용하지 않.. 2024. 9. 28.
춘분(春分) 전통 의례와 풍습, 여러문화권에서 춘분의 의미 춘분(春分)의 전통의례와 풍습, 여러문화권에서 추분의 의미1. 춘분의 의미춘분(春分)은 24절기 중 네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매년 3월 20일~21일경에 해당하며, 이 시점부터 본격적인 봄이 시작된다고 여겨집니다. 이 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점인 '춘분점'에 이르렀을 때,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니 이를 춘분이라고 합니다. 이 날은 음양의 기운이 같으니,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집니다. 이후로는 낮이 점점 길어지고 밤은 짧아집니다. 춘분은 겨울이 끝나고 봄으로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로, 농경사회에서는 봄을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로 여겨졌습니다.  2. 춘분 전통 의례(1) 사한제우리나라에서 겨울에 얼음을 채취한 예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갑니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2024. 9. 28.
우수(雨水) 의미와 구비전승, '정월대보름' 우수(雨水) 의미와 구비전승, '정월대보름'1. 우수의 의미우수(雨水)는 24절기 중 두 번째 절기로,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우수는 대개 양력 2월 18일에서 20일 사이에 찾아오며, 이때부터 얼었던 대지가 녹고, 하늘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우수’라는 이름 자체가 ‘비가 내리는 시기’를 뜻하며, 본격적인 봄의 도래를 알리는 절기입니다. 우수에는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 놓고,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초목의 싹이 트면서 봄이 시작된다고 했습니다.  2. 우수 풍습(1) 씨앗 고르기새로운 싹이 트는 시기인 우수는 농사일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농민들은 우수가 되면 농사에 사용할 좋은 씨앗을 고르는 일을 했다고 합니다. (2) 장 담그기본격적인 농사일에 앞서 장을 담그.. 2024.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