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만(小滿)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소만(小滿)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1. 소만의 의미소만(小滿)은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5월 20~21일경에 해당합니다. 볕이 잘 들고 작물이 자라나 약간의 곡식이 여물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소만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생장하여 차오르기 시작한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습니다. 맹하는 초여름이라는 뜻입니다.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씀바귀 잎으로 나물을 해먹으며, 보리이삭은 익어서 노란 색을 띄는 시기입니다. 모내기 준비에 한참 바빠지는 시기이며, 이른 모내기를 하거나 여러 밭작물 김매기가 줄을 잇습니다. 보리싹이 성장하고 산야의 식물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시작하고, 산에서는 부엉이가 웁..
2024. 9. 28.
입하(立夏)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입하(立夏) 의미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1. 입하의 의미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로,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개 5월 6일 무렵에 해당하며, 봄의 따뜻함이 지나고 여름의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봄은 퇴색하고 산과 들에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묘판에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보리이삭들이 피기 시작합니다. 누에치기가 한창인 시기이며, 논밭에 해충도 많고 잡초도 많아지기 시작합니다. 2. 입하 풍속과 속신(1) 입하와 목화 풍년 속설입하가 털 있는 짐승날(십이지 중 짐승에 해당하는 날)에 해당되면, 그해 목화 농사가 풍년이 될 것이라는 속설이 있습니다. 이는 자연의 변화를 예측하고 농사의 성패를 점치는 전통적 믿음 중 하나였습니다.(2) 팥죽 끓여 먹기입..
2024. 9. 28.
청명(淸明)의 전통 의례, 풍습, 절기음식
청명(淸明)의 전통의례, 풍습, 절기음식1. 청명의 의미청명(淸明)은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4월 4일 또는 5일경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는 날씨가 맑고 온화해지며, 농사 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입니다. 청명이라는 이름 자체가 '하늘이 맑고 밝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대기 중의 차가운 기운이 사라지고 하늘이 점차 청명해지는 현상을 표현한 것입니다. 청명은 또한 한식(寒食)과 맞물려 있어,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기록이 뒤섞이는 경우가 많고, 민간에서 뚜렷한 구분 없이 전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식(寒食)은 24절기 중 청명과 가까운 시기에 있는 한국의 전통적인 명절로, 주로 음력 3월 5일경에 해당합니다. 한식은 '차가운 음식'이라는 뜻을 가지며, 불을 사용하지 않..
2024.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