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4절기, 계절의 순환21

대설(大雪) 의미와 구비전승 대설(大雪) 의미와 구비전승 1. 대설의 의미 대설(大雪)은 24절기 중 스물한 번째 절기로, "큰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양력으로 12월 7일 또는 8일경에 해당하며,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실제로 이때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설이라는 이름에서 겨울의 한가운데로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를 상징합니다​. 농부들에게 있어 일년을 마무리하고 새해 맞이를 준비하는 농한기입니다. 가을 동안 수확한 곡시들이 곳간에 가득 쌓여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옛 중국에서는 대설부터 동지까지 5일씩 나눠서 초후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에는 호랑이가 새끼를 치며, 말후에는 여주가 돋아난다고 했습니다.  동양에서는 입동부터 대한까지를 겨울이라 여기지만, 서양에서.. 2024. 10. 16.
소설(小雪) 풍습과 속담, '손돌바람' 전설 소설(小雪) 풍습과 속담, '손돌바람' 전설 1. 소설의 의미 소설(小雪)은 24절기 중 스무 번째로, 첫눈이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11월 22일~23일 무렵에 해당하며, 입동과 대설 사이에 위치한 절기입니다. 이때부터 기온이 더욱 낮아지고, 살얼음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소설은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신호이기도 하며, "작은 눈"이라는 뜻에서 큰 눈이 내리는 대설의 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지만 아직 따뜻한 햇살이 비치기에 '소춘(小春)'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은 소설이 되기 전에 김장을 마무리기 위해 서두르고, 여러 월동준비에 한창인 시기입니다.  중국에서는 소설을 5일씩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초후에는 무지개가 나타나지 않고, 중후에는.. 2024. 10. 15.
입동(立冬) 다양한 풍습과 구비전승 입동(立冬) 다양한 풍습과 구비전승 1. 입동의 의미 입동(立冬)은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로,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양력으로는 11월 7일~8일 무렵에 해당하며, 이때부터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고, 본격적인 겨울을 맞이하게 됩니다. 입동은 서리가 내리는 상강과 첫눈이 내리는 소설 사이에 있으며, 농경 사회에서는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겨울을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2. 입동의 풍습(1) 입동보기입동보기는 입동을 맞이하면서 그해 겨울과 이듬해 농사 상태를 점치는 전통적인 민속 풍습입니다. 입동 날씨와 자연 현상을 관찰하며 그 해 겨울의 추위나 이듬해 농작물의 풍년 여부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입동보기에 관련된 사례는 지역마다 조금씩 다릅니다:충청도 지역에서는 "입동 .. 2024. 10. 14.
상강(霜降) 기록과 구비전승, 전통의례 '둑제' 상강(霜降) 기록과 구비전승, 전통의례 '둑제' 1. 상강 의미와 기록 상강(霜降)은 24절기 중 열여덟 번째 절기로, "서리가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 ~24일경에 해당하며, 가을이 끝나가고 겨울이 다가옴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 밤 기온이 더욱 낮아져, 서리가 내리고 때때로 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국화가 활짝 피고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농가에서는 추수를 마무리하고 겨울맞이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상강 무렵이 되면 농사일을 마무리하고 그동안 미뤘던 친목모임을 가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상강과 입동 사이를 5일씩 나누어 자연을 묘사했는데, 초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중후에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며, 말후에는 겨울잠을 자는 짐승과 .. 2024. 10. 14.
한로(寒露) 풍습과 속담, 음력 9월 9일 중양절 한로(寒露) 풍습과 속담, 중양절1. 한로의 의미한로(寒露)는 24절기 중 열일곱 번째로, "찬 이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기온이 더욱 낮아져 아침저녁으로 차가운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며, 가을이 깊어지고 있음을 알립니다. 한로는 양력으로 10월 8일~9일 무렵에 해당하며, 한로가 지나면 본격적으로 추위가 다가옵니다​.「고려사」에 따르면 한로 초후에는 기러기가 와서 머물고, 차후에는 참새가 큰 물에 들어가 조개가 되며, 말후에는 국화꽃이 노랗게 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아름다운 단풍이 짙어지고, 농촌은 타작이 한창이며, 제비와 같은 여름 새들이 겨울 새로 바뀌는 때입니다.  2. 한로의 풍습중양절한로는 시기상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양절에는 높은 데.. 2024. 10. 14.
추분(秋分) 의례 '노인성제'와 풍습 / 추석 추분(秋分) 의례 '노인성제'와 풍습 / 추석 1. 추분의 의미추분(秋分)은 24절기 중 열여섯 번째 절기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가을의 중심을 의미하며, 양력으로는 9월 22일~23일에 해당합니다. 추분 이후에는 밤이 점점 길어지며 기온이 낮아지기 시작합니다. 추분과 춘분 모두 밤낮의 길이가 같지만 추분이 약 10도 정도 기온이 높습니다. 추분에는 여름의 더위가 아직 가시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추분에 벌레는 땅속으로 숨어들고 물이 마르기 시작하고, 태풍이 불기도 합니다. 추분 즈음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고추를 따서 말리고 목화를 땁니다.  2. 추분 의례 - 노인성제 (老人星祭) 고려시대때부터 시작된 국가적 행사로 추분에 인간의 장수를 담당한다고 하는 '노인성'에 지내는 제.. 2024.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