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 [부암동 맛집] 부빙 - 팥빙수&딸기빙수 [부암동 빙수 맛집] 부빙 부빙 : 네이버방문자리뷰 1,120 · 블로그리뷰 1,075m.place.naver.com 윤동주 문학관 방문하고, 문학관 뒤에 '시인의 언덕'에 올라 서울 구경했다. 따뜻한 커피 마시려고 했는데 은근 더워서 올해의 마지막 빙수를 먹기로 했다. 순전히 지나가다 눈에 띈 빙수집으로 바로 들어갔다. 오 우연히 들어갔는데 알고보니 수요미식회 맛집이잖아! 화요일 휴무! 기본 메뉴는 이정도이지만, 매장 메뉴에는 초당옥수수빙수, 밤빙수, 밀크티빙수, 할로윈빙수, 따뜻한 커피와 차도 팔았다. 우리는 기본 팥빙수와 생딸기빙수! 양이 적겠지 했는데 상당히 많았다. 하지만 하나로는 부족해! 우유빙수가 부드럽다기보다는 사각사각해서 더 시원한 느낌. 우유의 고소함과 새~콤한 생딸기 소스.. 2024. 10. 27. [전주 맛집] 이탈리안 에스프레소바 카페닉 Cafe NICK [전주 맛집] 이탈리안 에스프레소바 카페닉 Cafe NICK 이탈리안 에스프레소바 카페닉 : 네이버방문자리뷰 325 · 블로그리뷰 272m.place.naver.com 무려 나보다 먼저 전주 여행을 갔던 이탈리아 친구에게 추천 받은 이탈리안 에스프레소바 카페닉! 내가 전주 놀러간다니까 이 에쏘바을 꼭 가보라며 추천해줬다. 이탈리안 친구에게 전주비빔밥, 커피숍 추천받은 한국 사람은 바로 나...!!! 첫번째 라운드는 에소바 오면 무조건 먼저 먹는 에스프레소 마끼아또와 친구는 쌉쌀 달콤 찐한 에스프레소 쇼콜라 입가심하라고 탄산수와 함께 서빙. 커피잔도 예쁘지만 탄산수 잔도 예쁘다. 비오는 날 커피 더 맛있다. 한 잔씩은 서운해서 두번째 라운드! 아직 오전이니까 괜찮아. 두번째는 달콤쌉쌀 에스프레.. 2024. 10. 27. 대설(大雪) 의미와 구비전승 대설(大雪) 의미와 구비전승 1. 대설의 의미 대설(大雪)은 24절기 중 스물한 번째 절기로, "큰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양력으로 12월 7일 또는 8일경에 해당하며,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실제로 이때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설이라는 이름에서 겨울의 한가운데로 접어드는 중요한 시기를 상징합니다. 농부들에게 있어 일년을 마무리하고 새해 맞이를 준비하는 농한기입니다. 가을 동안 수확한 곡시들이 곳간에 가득 쌓여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옛 중국에서는 대설부터 동지까지 5일씩 나눠서 초후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에는 호랑이가 새끼를 치며, 말후에는 여주가 돋아난다고 했습니다. 동양에서는 입동부터 대한까지를 겨울이라 여기지만, 서양에서.. 2024. 10. 16. 소설(小雪) 풍습과 속담, '손돌바람' 전설 소설(小雪) 풍습과 속담, '손돌바람' 전설 1. 소설의 의미 소설(小雪)은 24절기 중 스무 번째로, 첫눈이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11월 22일~23일 무렵에 해당하며, 입동과 대설 사이에 위치한 절기입니다. 이때부터 기온이 더욱 낮아지고, 살얼음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소설은 본격적인 겨울을 알리는 신호이기도 하며, "작은 눈"이라는 뜻에서 큰 눈이 내리는 대설의 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지만 아직 따뜻한 햇살이 비치기에 '소춘(小春)'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은 소설이 되기 전에 김장을 마무리기 위해 서두르고, 여러 월동준비에 한창인 시기입니다. 중국에서는 소설을 5일씩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초후에는 무지개가 나타나지 않고, 중후에는.. 2024. 10. 15. 입동(立冬) 다양한 풍습과 구비전승 입동(立冬) 다양한 풍습과 구비전승 1. 입동의 의미 입동(立冬)은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로,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양력으로는 11월 7일~8일 무렵에 해당하며, 이때부터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고, 본격적인 겨울을 맞이하게 됩니다. 입동은 서리가 내리는 상강과 첫눈이 내리는 소설 사이에 있으며, 농경 사회에서는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겨울을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2. 입동의 풍습(1) 입동보기입동보기는 입동을 맞이하면서 그해 겨울과 이듬해 농사 상태를 점치는 전통적인 민속 풍습입니다. 입동 날씨와 자연 현상을 관찰하며 그 해 겨울의 추위나 이듬해 농작물의 풍년 여부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입동보기에 관련된 사례는 지역마다 조금씩 다릅니다:충청도 지역에서는 "입동 .. 2024. 10. 14. 상강(霜降) 기록과 구비전승, 전통의례 '둑제' 상강(霜降) 기록과 구비전승, 전통의례 '둑제' 1. 상강 의미와 기록 상강(霜降)은 24절기 중 열여덟 번째 절기로, "서리가 내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 ~24일경에 해당하며, 가을이 끝나가고 겨울이 다가옴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 밤 기온이 더욱 낮아져, 서리가 내리고 때때로 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국화가 활짝 피고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농가에서는 추수를 마무리하고 겨울맞이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상강 무렵이 되면 농사일을 마무리하고 그동안 미뤘던 친목모임을 가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상강과 입동 사이를 5일씩 나누어 자연을 묘사했는데, 초후에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중후에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며, 말후에는 겨울잠을 자는 짐승과 .. 2024. 10. 1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