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계절의 순환

봄의 끝, 곡우(穀雨) 전통 의례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by Wonder HM 2024. 9. 28.
반응형


곡우(穀雨) 전통 의례와 풍습, 속담, 절기음식

1. 곡우의 의미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이자 봄의 마지막 절기로,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개 4월 20일경에 해당하며, 봄비가 내려 농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곡우는 벼를 심기 위해 못자리를 준비하는 것부터 농사 준비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농촌에서는 곡우 무렵에 벼를 심기 위해 못자리를 준비하며, 곡식들이 자라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곡우가 지나면 나물이 뻣뻣해지기 때문에 곡우에 나물을 채취해 먹기도 하고, 아이들은 새를 쫓기 위해 동네어귀를 몰려다니곤 했습니다.

 

3. 곡우 전통 의례

(1) 못자리 고사
곡우는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는 벼를 심기 위한 못자리 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 못자리를 만들거나 못자리를 낸 후에 풍년을 기원하고 새나 개구리 같은 조수들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내는 고사를 지냈습니다.

 

(2) 조기 산신제
전라남도 영광 법성포에서는 곡우 무렵에 조기 산신제를 올렸습니다. 곡우 시기에는 조기가 북상하여 산란을 마치고 알이 실해지는데, 이를 기리기 위해 산신제를 지내며 풍어와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가 행해졌습니다.

 

 

3. 곡우 풍속


(1) 볍씨 담그기
농가에서는 볍씨를 물에 담가 싹을 틔우기 시작하고, 이를 솔가지로 덮어 보호했습니다. 초상집에 가거나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본 사람은 집 앞에 불을 놓아 그 위를 건너게 해서 악귀를 없애고 집 안에 들였습니다. 집 안에 들어와도 볍씨를 못보게 했는데,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면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믿었습니다.

 

(2) 곡우물 마시기
곡우에는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르는 시기로 곡우물을 마시는 풍습이 있습니다. 전남, 경상도, 강원도에서는 깊은 산이나 명산으로 곡우물을 마시러 갔습니다. 곡우물은 자작나무나 산다래나무, 박달나무로,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3) 부부 잠자리
곡우에 붑가 하께 자는 것을 꺼리는데, 토신이 질투해 쭉정이 농사를 짓게 만든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4) 곡우물 맞기

곡우에 무명을 갈거나 물을 맞기도 합니다. 이날 물을 맞으면 여름철에 더위를 모르고 신경통도 좋아진다고 믿었습니다.

 

 

5. 곡우와 관련된 속담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

곡우 무렵 파종을 하곤 하는데, 이때 비가 안오면 싹이 트지 않고,토양이 건조해져 농사에 큰 지장이 생긴다는 경고의 의미입니다.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가 되면 모든 곡물들이 싹을 틔우기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곡우에 비가 오면 못자리 물로 쓰기 좋아 풍년이 든다는 속담입니다. 지역에 따라 곡우날 날씨에 따른 다양한 해석들이 있습니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산란 직전의 조기를 곡우철조기, 곡우살조기 등이라고 부르며 최고로 여깁니다. 조기는 곡우가 지나서 잡아야 맛이 좋아지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조기는 산란할 때, 그리고 마친 뒤에 우는 습성이이 있는데 그 시점이 곡우 전후한 시기라고 합니다. 

 

6. 곡우 절기음식

 

우전차
곡우 무렵은 어린 찻잎을 채취하는 시기입니다. 곡우 전에 딴 찻잎으로 만든 차를 우전차라 부르며, 곡우 이후에 채취한 잎은 우후차라고 합니다. 우전차는 양이 적고 맛이 부드러워 귀하게 여겨집니다​.

곡우사리 조기
전라남도 영광 법성포에서는 곡우사리라 불리는 조기가 제철입니다. 이 시기에 잡히는 조기는 살이 부드럽고 알이 많이 들어있어, 곡우 무렵에 즐기는 별미로 유명합니다. 조기는 구이, 찜, 또는 조림으로 요리해 먹습니다.

숭어
북한 용흥강에서는 곡우 시기에 숭어가 산란기를 맞아 강을 따라 올라옵니다. 이때 잡힌 숭어는 알이 풍부하고 맛이 좋아, 회나 찌개로 요리해 먹습니다.

산다래 수액
곡우 시기에는 산다래나 자작나무에서 수액을 채취하여 곡우물이라 부르고 건강에 좋다고 하여 마십니다. 이는 신경통을 낫게 하고 여름 더위를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전해집니다​.

곡우 떡
곡우 시기에는 곡우 떡을 만들어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 이는 찹쌀이나 보리를 이용한 증편, 개피떡 등이며 풍년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가족들이 함께 즐기는 음식입니다​.

 

봄 조개
봄 조개는 가을 낙지라는 말처럼 가장 맛이 좋을 때라고 합니다. 

 

 

 

반응형